Ubuntu Grumpy Groundhog ??

우분투는 2004년 10월에 4.10으로 시작해서 현재 7.10에 이르기까지 7개의 배포판을 내보냈습니다. 6개월마다 개발되는 빠른 개발주기는 다른 OS 사용자들을 의아하게 할지도 모릅니다. ‘아니 6개월마다 어떻게 OS를 내놓는거지?’ 그 돈많은 MS도 OS의 개발에 최소 3년의 개발주기가 걸렸고, 이건 MAC OSX도 마찬가지니까요. 저 개인적으로는 2년에 한번씩 릴리즈되는 초초안정버전인 LTS(장기 지원 버전)가 진짜베기라고 생각하고 더 읽기

Ubuntu에 게시되었습니다

밤에 그냥 감상

지금 방금 세개의 포스팅을 거의 다 썼다가 폐기했습니다. 한개는 어떤 음악플레이어에 관한 것이었는데 리눅스용도 아니고 또 윈도에서도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기 때문에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서 버렸습니다. 나머지 두개는 맥사용자들과 애플을 까는 내용이었습니다만 맥 팬보이(~~빠라는 표현은 안씁니다)들의 공격이 두려워 지웠습니다.(진짜입니다)이 포스팅도 작성 도중 어떤 생각이 들어서 지울지도 모릅니다만 그냥 써봅니다.이제 우분투와 더 읽기

버그 수 「보안 강도에 비례」

http://www.linuxholic.com/420 마소가 파이어폭스보다 IE가 안전한 이유에 대해 “파이어폭스보다 버그가 적다”라고 한 것에 대한 반박문입니다.모질라 재단의 주장에 따르면, “버그가 많다고 보안이 위험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 버그를 수정하는데 걸린 시간을 봐야 한다.”라고 했답니다.MS는 파이어폭스의 같은 기간내 버그 보완 횟수가 IE에 비해 엄청나게 많다는 점을 들었는데, 그것에 대한 모질라측의 비유가 재밌습니다.”미국의 치과 더 읽기

Ubuntu에 게시되었습니다

파일 교환에 필요한 작은 공간 Drop.io

학교에서 팀프로젝트 같은 것을 할때면 파일의 교환이 많이 필요합니다. 특히 여럿이서 공동으로 문서 작업하는 경우엔 문서의 업데이트와 관리가 절실합니다.이럴땐 구글 오피스와 같은 웹오피스가 가장 이상적입니다만 문제는 웹오피스 자체의 한계(지원 포맷의 한계, 호환성, 성능 등)와 이 방법을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는데 문제가 있습니다.(나만 안다고 되는 문제가 아니죠-_-)가장 흔한 방법은 다음이나 네이버 더 읽기

Ubuntu에 게시되었습니다

우분투의 설날 축하 로고 & Parallels 우분투 지원 시작

오랜만에 우분투 홈페이지에 접속했더니 저런 로고가 떠있군요. 음력설을 챙겨주는 우분투로군요-_-;;우분투中国의 용로고는 신선하군요ㅋㅋ 우분투 한국의 로고(?)는 태극무늬로 만들어져 있던데..다만 아쉬운건 “중국”의 설날로만 나타나고 있는게..우분투측에서 조금 더 신경을 써줘서 음력설을 쇠는 나라의 모든 언어로 표기를 해줬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_=;;저기 써있는 중국어는 한자만 봐도 아시겠지만,”우분투는 모두들 즐거운 새해가 되기를 바랍니다(Ubuntu zhu dajia 더 읽기

Ubuntu에 게시되었습니다

우분투에서 아이팟 사용

우분투를 비롯한 리눅스에서는 아이팟을 사용하는 방법이 윈도보다 오히려 많은 편입니다. 윈도는 아이튠즈와 기타 윈앰프, 리얼플레이어 정도이지만 리눅스에서는 꽤 많은 프로그램이 아이팟 동기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 허접하다는 리듬박스조차 동기화 기능을 지니고 있습니다.(물론 리듬박스의 동기화는 최신 모델에서는 하나도 먹히지 않습니다.)방법이 많다고 해도 셔플2세대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습니다. 현재 동기화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프로그램은 더 읽기

Ubuntu에 게시되었습니다

국내에서도 리눅스 데스크톱 판매

기사 링크 이미 델, HP, ASUS, IBM 등 외국의 유명 PC 제조업체는 리눅스용PC를 생산하여 판매해오고 있습니다.특히 델은 얼마전 투표를 통해 우분투를 자사의 노트북과 데스크탑에 비스타 대신 설치하였고 강력한 지원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캐노니컬에서도 전화 지원 업무, 우분투 적응 프로그램 등 델 PC 구매자에게 상당히 많은 상업적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그리고 이제 국내에서도 한컴과 더 읽기

Ubuntu에 게시되었습니다

우분투에서 동영상 자막 보기

우분투에서 자막을 볼때 맞닥뜨릴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UTF-8을 사용하지만 윈도우는 한글 인코딩으로 euc-kr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자막들은 윈도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호환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아래의 1,2번 팁은 그것을 해결해주는 과정입니다.1. Totem으로 자막보기토템은 우분투에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는 동영상 재생기입니다. 역시 쉬움을 강조하는 우분투 답게 토템도 설정이 상당히 쉽고 간단하게 되어 더 읽기

Ubuntu에 게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