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사용자가 리눅스 콘솔을 알아야 하는가?”윈도우는 OS의 일부분이 GUI이기 때문에 프롬프트를 몰라도 되지만 리눅스는 X가 그저 어플리케이션의 하나이기 때문에 콘솔을 알아야한다.”아니-_-그전에 일반 사용자는 리눅스가 X와 커널이 분리되어 있는 형태라는걸 과연 알 수 있을까? 아니 알아야 할까?=_=;;일반 윈도우 유저가 윈도우의 그래픽쉘은 OS와 합쳐져있다는 사실을 알고 쓰나-_-알아야 쓰나;;아. 리눅스=_= 이래선 성공할 수 더 읽기
P1510 우분투 하드웨어 제어 세팅
뭐 대단한건 아닙니다. 그동안 제가 쓰고 있는 스크립트들과 이를 이용해서 좀 더 편하게 쓸 수 있도록 compiz에서 세팅을 맞춰 봤습니다.P1510에 최적화된 compiz 설정값입니다. 우분투 7.10에서 쓸 수 있습니다.윈도우키 조합 단축키로 P1510의 하드웨어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compizconfig-settings-manager 가 필요합니다.1. 이 스크립트들을 홈폴더의 control에 풀어주세요.(홈폴더에 복사하고 오른클릭 후 ‘여기에 풀기’ 하시면 control 폴더에 더 읽기
Jateon
리눅스용 메신저가 나왔고 최신버전을 소스를 받아 패키징까지 했것만=_= 여전히 리눅스용 네이트온은 파일전송에 있어서 약간 불안정한 느낌이다. 그렇다고 pidgin은 가끔 대화가 먹혀버리거나(…) 파일전송은 아예 안되고..=_=결국 이전부터 알고는 있었지만 자바 어플을 웬지 기피하는(윈도때부터 그랬음=_=) 이상한 버릇 때문에 안쓰던 Jateon(자테온)을 설치해보기로 했다. 정승원님의 Jzip을 테스트 할때 자바 런타임 패키지를 설치했으므로 이 프로그램도 한번 더 읽기
나비 0.99 for 우분투 7.04
나비 0.99 가 릴리즈 되었습니다.저로서는 정확히 무엇이 고쳐졌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특정 프로그램에서 자주 죽는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 것 같아서 좋습니다. 좀 더 써봐야 알겠지만요^^;; 나비는 XIM 입력기로 우분투의 기본 입력 시스템인 SICM과 다릅니다. 제 개인적은 느낌으로는 동작에 있어서 나비가 SCIM보다 문제를 덜 일으키는 것 같습니다.(오로지 주관) 확실한건 Jateon과 같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