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에 iPadOS 26에 적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iPadOS 18에서 스테이지 매니저를 켜서 써보고 있다고 말씀드렸었죠. 그렇게 거의 20일 정도 쓰고 다시 기본 멀티태스킹 모드로 돌아왔습니다.
이유는 딱 하나, 앱과 사파리에서의 ‘뒤로가기’ 액션 때문입니다. 아이패드나 아이폰에서는 뒤로가기를 하려면 왼쪽 —> 오른쪽 으로 스와이프 해야하는데 스테이지 매니저에서는 이렇게하면 최근에 실행한 앱이 자꾸 나와서 제대로 뒤로가기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키보드 없이 터치 모드만으로 쓸 때 자주 쓰는 기능이라 계속 켜놓고 쓰는데는 확실히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 외에는 아이패드에서 창으로 멀티태스킹하는데 나름대로 적응하게 된 것 같습니다. iPadOS 26에서는 아직도 많이 어색하겠지만 그래도 이정도면 대비 훈련(?)은 어느정도 된 것 같습니다.
스테이지 매니저로 대비훈련을 하고 있다보니 이번 맥OS에서 사라진 런치패드 생각이 문득 났습니다. 맥OS에서도 런치패드를 정말 잘 활용하고 있었는데 이번 맥OS 26에서 삭제되었죠.
아이패드에서도 여러 창을 띄워놓고 멀티태스킹을 해보니, 굳이 앱을 실행하러 바탕 화면으로 돌아가는게 좀 불편하게 느껴졌습니다. 이건 iPadOS 26 쓸 때도 그랬는데 매직 키보드를 연결해서 쓰다보니 굳이
- 바탕화면으로 돌아가서
- 홈 화면에 실행을 원하는 앱이 있는지 보고
- (없으면) 앱 서랍으로 가서 앱을 실행한다
는 이 과정이 좀 번거롭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그냥 Spotilight로 원하는 앱을 검색해서 실행하는게 훨씬 빠르고 편했습니다. 아이패드가 창모드 없이 그냥 전체 화면으로 앱이 실행될 때는 어차피 닫고 다시 실행해야하니 자연스러운 과정이었지만 창모드로 실행할 때는 굳이 바탕화면으로 돌아가는게 작업의 단절 같이 느껴지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맥OS에서도 Spotlight를 강화하고 런치패드를 제거한건가 싶더군요.
이해가 어느정도 되긴 했지만 그래도 런치패드를 상당히 잘 쓰고 있던 사람이라 맥OS 쪽도 아이패드처럼 적응 훈련을 해야하는건가 싶습니다. 애플 제품을 쓰다보면 이렇게 사용성 변경에 대해 강제로 적응해야하는 경우가 엄청 많은데 이번 운영체제 업데이트는 아이패드나 맥 둘 다 저한테는 약간 가혹한 변화들이네요.
덧. 사실 맥OS에서 런치패드는 굳이 바탕화면으로 돌아가서 실행해야하는 아이패드랑은 다릅니다. 현재 작업 중인 창에 오버레이 되어 나오는 기능이거든요. 어차피 아이패드는 터치가 메인인 장치라 아이콘 기반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없애진 못할 것 같고 그러면 그냥 아이패드에서도 앱 서랍이 런치패드처럼 오버레이 되는 형태였다면 어땠을까 싶기도 하네요.(그런데 이렇게 쓰고보니 지금도 Dock으로 이렇게 실행할 수는 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