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 서비스로 만든 나만의 취향 알고리즘

바야흐로 구독의 시대다. 이 문장 조차 진부하게 느껴질 정도로 이미 구독 서비스는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구독 서비스는 서비스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특정 비용을 내면 한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자유 이용권 개념의 서비스가 일반적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넷플릭스였고, 이 방식은 적어도 온라인 서비스에서는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구독제의 가장 전통적인 모델은 헬스장인데, 대부분의 헬스장은 열렬히 이용하는 소수의 회원과 회비를 내고 오지 않는 다수의 회원들로 구성된다. 다수의 손해를 보는 회원들이 열성적인 소수의 회원들을 위한 비용도 같이 대준다. 사실 이건 구독제 모델도 비슷하다. 넷플릭스에서 동영상을 많이 재생할 수록 넷플릭스는 비용이 들어간다. 그렇다면 넷플릭스 입장에서 가장 이익인 것은 대다수의 이용자가 가입만 해놓고 컨텐츠를 잘 플레이하지 않는 상황일 것이다.

하지만 넷플릭스가 정말 대단한 것은 정반대의 접근을 취하고 있어서다. 넷플릭스는 많은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컨텐츠를 즐기길 원한다.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이 있을만한 동영상을 끊임없이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그 데이터를 계속 쌓아서 분석한다. 사용자는 자기도 모르게 알고리즘이 추천한 동영상을 아무 생각없이 클릭해서 보게되고 계속 넷플릭스 이용권을 갱신한다. 바로 이것이 넷플릭스가 알고리즘 추천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있는 큰 그림이다.

이런 추천 알고리즘은 사람들의 소비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미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사람들은 기계가 추천해준 것을 보고 기계가 추천해준 음식을 주문하고, 기계가 추천해준 옷을 산다. 기계가 파악하고 있는 내 취향은 얼마나 정확할까?


알고리즘은 얼마나 나를 파악하고 있을까?

난 넷플릭스와 별로 친하지 않다. 개인적으로 미드를 별로 즐겨보지 않아 넷플릭스에서 볼만한 컨텐츠가 많지 않아서 그런 것도 있지만 알고리즘이 내 취향의 컨텐츠를 제대로 추천하는 경우를 한번도 못봤기 때문이다. 넷플릭스와 친해져보기 위해 3개월 정도 노력을 해봤지만 결국 모두 실패했다. 이렇게 많은 컨텐츠 중에 내 취향의 컨텐츠도 어딘가 있을텐데.. 넷플릭스는 놀랍게도 내 취향에 항상 빗나가는 컨텐츠를 추천해준다.

넷플릭스 알고리즘이 내 취향 파악에 실패한 이유는 내가 넷플릭스에서 찾아본 컨텐츠가 일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항상 넷플릭스를 열어놓고 멍하니 있다가 그냥 아무거나 여러개 눌러보면서 앞 부분만 보고 끄고 하는 식으로 보는데 그렇다보니 감상하는 장르가 일관성이 없고 추천 알고리즘도 아무거나 추천해주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너무 당연하지 않은가. 넷플릭스에 있는 대부분의 컨텐츠는 내가 잘 모르는 컨텐츠이니 이것저것 눌러서 볼 수 밖에.

물론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한 방법도 있다. 이것저것 눌러보는 프로필과 실제로 내 취향대로 보는 프로필을 분리해서 쓰는 방법이다. 하지만 굳이 돈 내고 쓰는 서비스에서 한낱 알고리즘의 편의를 위해 그렇게까지 해주고 싶진 않다. 그렇다보니 뭘 봐야할지 모르겠어서 이것저것 누르다보면 추천 알고리즘이 엉망이 되고, 추천 알고리즘이 엉망이 되니 뭘 봐야할지 모르겠는 악순환이 생겼다. 그렇게 넷플릭스는 몇개월간 친해지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내 생활의 일부가 되는데는 실패했다.

구독제 서비스 덕분에 만들게 된 나만의 알고리즘

하지만 넷플릭스의 추천 알고리즘과는 별개로 넷플릭스는 완벽한 나만의 취향 알고리즘을 만들 수 있게 해주었다. 그건 구독제 서비스 특유의 ‘컨텐츠 무제한 접근 정책’ 덕분이었다.

내가 내 취향을 알기 어려웠던 이유는 컨텐츠를 많이 접해보지 않아서였다. 보통 많은 컨텐츠를 접해보며 자기의 취향을 발견하기 마련인데 나 같은 경우 재미없는 컨텐츠에서 발생하는 기회 비용이 두려워서 아예 컨텐츠를 많이 접하지 않았다. 그렇다보니 어떤 컨텐츠가 비용이 아까워서 선택하지 않은 것인지, 취향이 아니라서 선택하지 않은 것인지 구분조차 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넷플릭스를 비롯한 구독 서비스는 월 구독 비용을 내고나면 어떤 컨텐츠를 보던 기회비용은 0이된다. 구독제 서비스 하에서는 비용이 아까워서 볼 수 없는 컨텐츠는 없다. 그러므로 결국 내가 골라서 재밌게 본 컨텐츠는 모두 내 취향의 컨텐츠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건 알고리즘이 추천해준 것이 아닌 내가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발견한 ‘나만의 취향’이었다. 이렇게 발견하게된 내 취향은 온전히 나만의 것이고, 어떤 알고리즘도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어떤 서비스와 알고리즘에도 흔들리지 않을 나만의 취향이 될 것이다.


마무리

지금 우리는 모든 것을 기계가 추천해주는 시대에 살고 있다. 어떤 것을 보고 싶어할지, 어떤 것을 입고 싶어할지, 어떤 것을 먹고 싶어할지 모든 것을 기계가 알려준다. 하지만 난 기계가 아무리 똑똑해져도 우리의 복잡한 정신 세계를 결코 완벽하게 알아낼 수는 없다고 본다. 결국 어떤 똑똑한 추천 알고리즘이 나와도 오히려 결국 자신에 대해 더 잘알고 있어야하는 시대가 아닌가 싶다.

나처럼 기회비용이 두려워서 취향을 잘 모르고 사는 사람들은 구독 서비스가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나 같은 경우 넷플릭스를 보면서 영화 취향을 깨달았고, 애플 아케이드와 게임 패스를 하면서 어드벤처 게임을 좋아하고 RPG를 싫어한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물론 숱한 시행착오가 필요한 작업이긴 하지만 이렇게 만든 나만의 알고리즘은 어떤 똑똑한 알고리즘에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고, 어떤 서비스를 써도 호환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