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15 프로 정품 실리콘 케이스

원래 저는 케이스를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이패드 프로 같은 경우 스마트 폴리오나 매직키보드를 쓰긴 하지만 보호의 목적이라기보다 기능 때문에 쓰는거에 가깝거든요.

아이폰 같은 경우 최대한 쌩폰으로 사용하다가 더이상 손상이 눈 뜨고 보기 어려워졌을 때(?) 그때 케이스를 씌워서 가리는 편입니다. 저 같은 경우 케이스는 보호의 목적보다는 가리는 목적이 더 큰거죠.

그래서 보통 3년 ~ 4년 정도 지나면 케이스를 씌우는데 이번 아이폰 15 프로는 좀 일찍 구매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보통 3~4년 정도 되면 그 때 가서 케이스를 찾기가 무척 어렵기 때문입니다. 예전에 아이폰 11 프로 뒷판이 깨지고 난 다음에 케이스를 찾으려 하니 도저히 찾을 수가 없어서 알리 등에서 비정품 케이스를 구매했던 경험도 있었죠. 나중에 사려고 하면 색상 선택도 어렵고 말이죠.

그래서 이번에는 사재기하는 심정으로 미리 구매했습니다. -_-

그러고보니 정품 실리콘 케이스를 써보는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아이폰 7 플러스 때는 가죽 케이스를 썼었죠. 아이폰 15 프로에서 가죽 케이스 선택지가 있었다면 가죽 케이스를 골랐겠지만, 그렇다고 차마 파인우븐 케이스를 구매할 수는 없었습니다.

정품 실리콘 케이스의 성능은 듣던대로 무난합니다. 보호 기능과 핏 모두 무난하고 실리콘 케이스의 촉감도 부드러우니 나쁘지 않습니다.

애플 정품 실리콘 케이스는 실리콘 케이스라고는 하나 실리콘만 있는 일반적인 실리콘 케이스와 조금 다릅니다. 내부에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의 플라스틱이 있고 겉 재질이 실리콘이거든요. 그래서 다른 실리콘 케이스는 손가락으로 휘어보면 완전히 휘지만 애플 케이스는 휘지 않고 단단하게 모양이 잡혀있습니다. 보호 기능이랑 촉감 둘 다 신경 쓴 디자인이죠.

아이폰 12 이후의 실리콘 케이스는 아이폰4가 그랬던 것처럼 모든 테두리를 보호하는 디자인으로 되어있습니다. 저는 아이폰 11이랑 아이폰 7 플러스를 썼다보니 이렇게 사방이 막혀있는 케이스가 새삼 새롭네요. 이전 케이스보다 보호 목적에 훨씬 충실해 보입니다.

실리콘 케이스의 가장 큰 문제점은 먼지 컬렉터라는겁니다. 특히 제가 고른 색상처럼 어두운 색상의 경우 이 먼지가 훨씬 눈에 잘 띕니다. 시간이 지나면 표면이 닳으면서(?) 괜찮아진다고 하는데, 일단 지금은 적응이 안될 정도로 먼지가 많이 묻습니다.

사진에 나온건 사실 약과입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미끄럽습니다. 이것도 사용한지 얼마 안되어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생폰 상태보다 오히려 더 미끄럽습니다. 아이폰 15 프로의 측면은 무광 티타늄이지만 기존 유광 스테인리스 스틸처럼 마찰력이 어느정도 있어서 손에 잘 붙어있었는데 실리콘 케이스를 낀 상태에서는 생폰처럼 사용했다가는 자주 떨어뜨릴 것 같습니다.

아이폰 15 프로에만 해당하는 문제점으로, 액션 버튼을 누르기가 좀 어렵다는 것도 아쉬운 점이었습니다. 예전 가죽 케이스는 버튼부가 금속 재질로 되어있어서 버튼 누르는 구분감이 좋았는데 실리콘 케이스는 이 부분이 좀 물렁거리는 느낌이라 아쉬웠습니다. 특히 다른 버튼보다 액션 버튼 쪽이 물컹하니 좀 별로였습니다.

어쩌다보니 아쉬운 점을 주로 이야기한 것 같지만 전체적으로 무난한 케이스입니다. 좋은 쪽으로요. 딱히 특징이랄 것도 없지만 흠 잡을 데도 없는 케이스입니다. 제가 케이스를 잘 안쓰는 이유가 모두 이래저래 하나씩은 마음에 안드는 점이 있어서였는데 이 케이스는 정말 애플 정품 케이스 답게 크리티컬한 아쉬운 점이 보이지 않습니다.(위에서 이야기한 아쉬운 점은 실리콘이라는 소재라면 어쩔 수 없는 일이니까요)

당분간 계속 생폰을 쓰겠지만 여행을 가거나 좀 거친 활동을 할 때는 자주 쓰게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