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DP에 올라온 글입니다. 제 입장으로 한번 반론해봤습니다.솔직히 리눅스 유저들 중에 ‘일반사용자’라고 할만한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그냥 사용하면 그게 일반사용자지 뭐냐…라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일반사용자는 OS나 라이브러리 의존성같은문제는 신경 안씁니다. 왜냐면 그것은 일반적인 사용 – 웹, 오피스, 게임 등 – 과는 상관이 없기 때문입니다.그리고 사용자가 그런데 신경쓰지 않는 것이 당연한 것이죠.
– 이부분은 동의합니다. 다만 의존성이라는 건 전 지금도 잘 모르겠습니다. 최근에 네이트온 컴파일했을때 비로소 깨달았지요.
리눅스는 태생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시스템 관리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기반인 유닉스가 그렇고,오픈소스 역시 그렇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리눅스가 대상으로하는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일반사용자’가 아닙니다.컴파일도 할 줄 알고, 쉘도 사용할 수 있고, 정규표현식도 쓸 수 있는 ‘일반사용자’가 어디있습니까?
– 저도 제가 일반 사용자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컴파일 저 모릅니다. make 명령어의 뜻이 뭔지도 몰라요-_-; 정규표현식은 뭐죠?;;;;
그래서 저는 기본적으로 리눅서는 ‘최소한’ 컴퓨터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파워유저라고 생각합니다.반면에 윈도우는 태생적으로 일반적인 사용자들 – 컴퓨터는 관심없고 자기 ‘할일만’하면 그만인 – 을 대상으로만들어진 OS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컴퓨터에 대해 알고있지 않거나 관심이 없는 이상 그게 더 이치에 맞지않을까요?
– 윈도우는 컴퓨터에 관심없고 할일만 하기엔 너무 많은 태생적 한계를 갖고 있습니다. “컴퓨터에 관심없고 할일만 하기”만 하는 사용자라도 윈도에 백신이나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좀 된 얘기지만 윈 98시대에 디스크 조각모음이나 디스크 검사 등을 단 한번도 하지 않은 윈도 유저는 없을 겁니다.
하지만 이상하게 리눅서들은 윈도우 유저들이 ‘이게 불편하다’고 말하면, ‘몰라서 그런다’라고 하는 경향이 있더군요.그게 이상한건가요? 설사 대체 프로그램이 있어도 사용자들이 기존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어하는건 당연한 겁니다.거기에 대해서 윈도우에서만 쓰던 걸 고집한다고 한다느니, 뭘 모른다느니 하는 건 솔직히 그냥 아는사람의 비웃음입니다.물론 ‘리눅스에는 알집이 없다. 그러므로 리눅스는 윈도우보다 못하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만. 그런 건 논리력수준의 문제니까 예외로 하도록 하지요.
– 이부분도 동의 합니다. 솔직히 대체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처음 사용자들은 알 수가 없습니다. 특히 최근에 저희 아버님 사례를 볼때, 우분투의 중국어 입력 방법이 한글 윈도우즈의 “南劇星”보다 훨씬 편한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남극성의 방식을 계속 쓰고 싶어 하십니다. 편리한것보다는 새로운 것을 익힌다는 것 자체가 더 힘들 수도 있습니다..
솔직히, 리눅스가 윈도우보타 사용자 입장에서 어려운 건 사실입니다. 윈도우 사용자의 문제 제기가 틀린게 아닙니다.리눅서 입장에서 ‘그것도 몰라?’라고하는 건 좀 아니지않나요. 뭐, ‘상관없다. 리눅스는 아는 사람만 쓰면 그만이다’라고한다면 상관없지만 ‘데스크탑’이고 싶다면 ‘대부분의 일반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게 당연한겁니다. 이건 사용자가 제한된소수 영역에서 대중의 영역으로 옮겨가는 이상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리눅스가 윈도우랑 비슷해져가는 이유는, 그것이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을 고려했을 때’ 더 옳은 방향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입니다(맥이 있지만 논외로 하지요. 옳다는 건 상대적인 겁니다. 문맥적으로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 정확히 정정하자면 데스크탑 환경이 윈도우와 비슷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지요~
만약 개발자인 A가 자바로 프로그램을 배포했고 그걸 일반사용자인 B가 받아서 대화한다고 가정해봅시다.A : “이거 왜 안돼?”B : “어, JRE 설치해야돼”A : “그게 뭔데?”B : “주소 알려줄테니 받아서 설치해”A : (설치후) “설치해도 안되는데?”B : “버젼이 틀리잖아! 1.6으로 설치해야지”A : (1.6 설치후) “그래도 안되는데?”B : “이상하다? 클래스 패스 좀 봐바”A : “그게 뭔데?”B : “그것도 모르냐? 쉬우니까 등록정보에서 환경변수 봐바”A : (실행후)”실행은 되는데 이게 왜 모양이 틀려? 메모리도 많이 잡아먹는다.”B : “자바의 특성이야. 원래 그런건데 왜 이해를 못해?”A : “설치도 복잡하고, 설정도 복잡하고, 생긴 것도 다르고… 자바 구리구만”B : “….. 무식한 놈, 자바 프로그램이 돌아가는데 JRE가 필요한건 당연한거지. 클래스패스나 환경변수 같은건 기본이잖아.생긴게 조금 다르다고 무슨 문제야? 잘만 돌아가면 그만이지.”A : “그래, 너 잘났다. 난 아무것도 모르니가 그냥 쓰던거 쓰련다”B : “내가 아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주 당연하게 사용하는데 넌 왜 그러냐? 좀 공부 좀 해라”A :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 그리고 굳이 그렇게 안해도 내가 하고싶은거 윈도우 프로그램으로 다 돌아가”B : “참나… 맘대로 써라”
– 제 수준에선 전혀 알 수 없는 대화이므로 패스
이게 제가보는 대부분의 리눅서의 태도입니다. 이건 개발자나 시스템 관리자, 혹은 파워유저의 관점이지 결코 일반적인 사용자관점은 아닙니다. 리눅스에 2%부족한 것? 얼마전에 봤던 게시물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고객/비지니스 관점이 부족하다’와 같습니다.리눅스도 오픈소스 프로젝트인지라 예외가 아닙니다.
– 고객/비즈니스 관점이 부족하다는건 매우 옛날 이야기로군요. 수많은 리눅스 벤더들의 지원은 윈도의 그것보다 더 사용자와 가깝다고 봅니다. 또, 리눅스 커뮤니티의 지원은 어떤 상용기업의 지원보다 덜 친절하지만 보다 방대한 지원을 가능하게 합니다.
만약에 ‘나는 리눅스가 더 편하다. 리눅스는 충분히 일반 사용자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라고 답하실 분들은 답하시기 전에자문해보시길 바랍니다… 주위에서 정말로 ‘일반사용자’로 쳐줍니까? -_-;;;
– 아뇨-_-; 저보고 공학도라고 하던데요. 누누이 말하지만 고등학교때부터 문과였고, 전 경영학도 입니다.-_-;
– 이부분은 동의합니다. 다만 의존성이라는 건 전 지금도 잘 모르겠습니다. 최근에 네이트온 컴파일했을때 비로소 깨달았지요.
리눅스는 태생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시스템 관리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기반인 유닉스가 그렇고,오픈소스 역시 그렇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리눅스가 대상으로하는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일반사용자’가 아닙니다.컴파일도 할 줄 알고, 쉘도 사용할 수 있고, 정규표현식도 쓸 수 있는 ‘일반사용자’가 어디있습니까?
– 저도 제가 일반 사용자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컴파일 저 모릅니다. make 명령어의 뜻이 뭔지도 몰라요-_-; 정규표현식은 뭐죠?;;;;
그래서 저는 기본적으로 리눅서는 ‘최소한’ 컴퓨터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파워유저라고 생각합니다.반면에 윈도우는 태생적으로 일반적인 사용자들 – 컴퓨터는 관심없고 자기 ‘할일만’하면 그만인 – 을 대상으로만들어진 OS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컴퓨터에 대해 알고있지 않거나 관심이 없는 이상 그게 더 이치에 맞지않을까요?
– 윈도우는 컴퓨터에 관심없고 할일만 하기엔 너무 많은 태생적 한계를 갖고 있습니다. “컴퓨터에 관심없고 할일만 하기”만 하는 사용자라도 윈도에 백신이나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좀 된 얘기지만 윈 98시대에 디스크 조각모음이나 디스크 검사 등을 단 한번도 하지 않은 윈도 유저는 없을 겁니다.
하지만 이상하게 리눅서들은 윈도우 유저들이 ‘이게 불편하다’고 말하면, ‘몰라서 그런다’라고 하는 경향이 있더군요.그게 이상한건가요? 설사 대체 프로그램이 있어도 사용자들이 기존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어하는건 당연한 겁니다.거기에 대해서 윈도우에서만 쓰던 걸 고집한다고 한다느니, 뭘 모른다느니 하는 건 솔직히 그냥 아는사람의 비웃음입니다.물론 ‘리눅스에는 알집이 없다. 그러므로 리눅스는 윈도우보다 못하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만. 그런 건 논리력수준의 문제니까 예외로 하도록 하지요.
– 이부분도 동의 합니다. 솔직히 대체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처음 사용자들은 알 수가 없습니다. 특히 최근에 저희 아버님 사례를 볼때, 우분투의 중국어 입력 방법이 한글 윈도우즈의 “南劇星”보다 훨씬 편한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남극성의 방식을 계속 쓰고 싶어 하십니다. 편리한것보다는 새로운 것을 익힌다는 것 자체가 더 힘들 수도 있습니다..
솔직히, 리눅스가 윈도우보타 사용자 입장에서 어려운 건 사실입니다. 윈도우 사용자의 문제 제기가 틀린게 아닙니다.리눅서 입장에서 ‘그것도 몰라?’라고하는 건 좀 아니지않나요. 뭐, ‘상관없다. 리눅스는 아는 사람만 쓰면 그만이다’라고한다면 상관없지만 ‘데스크탑’이고 싶다면 ‘대부분의 일반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게 당연한겁니다. 이건 사용자가 제한된소수 영역에서 대중의 영역으로 옮겨가는 이상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리눅스가 윈도우랑 비슷해져가는 이유는, 그것이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을 고려했을 때’ 더 옳은 방향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입니다(맥이 있지만 논외로 하지요. 옳다는 건 상대적인 겁니다. 문맥적으로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 정확히 정정하자면 데스크탑 환경이 윈도우와 비슷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지요~
만약 개발자인 A가 자바로 프로그램을 배포했고 그걸 일반사용자인 B가 받아서 대화한다고 가정해봅시다.A : “이거 왜 안돼?”B : “어, JRE 설치해야돼”A : “그게 뭔데?”B : “주소 알려줄테니 받아서 설치해”A : (설치후) “설치해도 안되는데?”B : “버젼이 틀리잖아! 1.6으로 설치해야지”A : (1.6 설치후) “그래도 안되는데?”B : “이상하다? 클래스 패스 좀 봐바”A : “그게 뭔데?”B : “그것도 모르냐? 쉬우니까 등록정보에서 환경변수 봐바”A : (실행후)”실행은 되는데 이게 왜 모양이 틀려? 메모리도 많이 잡아먹는다.”B : “자바의 특성이야. 원래 그런건데 왜 이해를 못해?”A : “설치도 복잡하고, 설정도 복잡하고, 생긴 것도 다르고… 자바 구리구만”B : “….. 무식한 놈, 자바 프로그램이 돌아가는데 JRE가 필요한건 당연한거지. 클래스패스나 환경변수 같은건 기본이잖아.생긴게 조금 다르다고 무슨 문제야? 잘만 돌아가면 그만이지.”A : “그래, 너 잘났다. 난 아무것도 모르니가 그냥 쓰던거 쓰련다”B : “내가 아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주 당연하게 사용하는데 넌 왜 그러냐? 좀 공부 좀 해라”A :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 그리고 굳이 그렇게 안해도 내가 하고싶은거 윈도우 프로그램으로 다 돌아가”B : “참나… 맘대로 써라”
– 제 수준에선 전혀 알 수 없는 대화이므로 패스
이게 제가보는 대부분의 리눅서의 태도입니다. 이건 개발자나 시스템 관리자, 혹은 파워유저의 관점이지 결코 일반적인 사용자관점은 아닙니다. 리눅스에 2%부족한 것? 얼마전에 봤던 게시물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고객/비지니스 관점이 부족하다’와 같습니다.리눅스도 오픈소스 프로젝트인지라 예외가 아닙니다.
– 고객/비즈니스 관점이 부족하다는건 매우 옛날 이야기로군요. 수많은 리눅스 벤더들의 지원은 윈도의 그것보다 더 사용자와 가깝다고 봅니다. 또, 리눅스 커뮤니티의 지원은 어떤 상용기업의 지원보다 덜 친절하지만 보다 방대한 지원을 가능하게 합니다.
만약에 ‘나는 리눅스가 더 편하다. 리눅스는 충분히 일반 사용자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라고 답하실 분들은 답하시기 전에자문해보시길 바랍니다… 주위에서 정말로 ‘일반사용자’로 쳐줍니까? -_-;;;
– 아뇨-_-; 저보고 공학도라고 하던데요. 누누이 말하지만 고등학교때부터 문과였고, 전 경영학도 입니다.-_-;